1. 기초 과목 : - 농업 경제학 : 농업 생산, 시장 및 가격 분석, 농업 정책 - 경영학 : 경영 원리, 농업 경영, 기업 재무 - 사회학 : 농촌 사회 구조, 농업과 사회 변화
2. 심화 과목 : - 농업 정책 및 개발 : 국가 및 국제 농업 정책, 농촌 개발 전략 - 환경 경제학 : 환경 자원 관리, 지속 가능한 농업 - 식량 경제학 : 식량 생산, 분배 및 소비
3. 실습 및 현장 연구 : - 현장 실습 : 농업 현장에서의 실습을 통해 실제 문제를 경험하고 해결 - 연구 프로젝트 : 특정 주제에 대한 심층 연구 수행
4. 통계 및 데이터 분석 : - 통계학 : 통계적 방법론, 데이터 분석 기술 - 경제 모델링 : 경제 모델 구축 및 분석
교육 과정
1. 학부 과정 : - 기초 과목 이수 : 농업 경제학, 경영학, 사회학, 통계학 등 - 심화 과목 이수 : 농업 정책, 환경 경제학, 농촌 개발 등 - 실습 및 현장 연구 : 농업 현장에서의 실습 및 연구 프로젝트 수행
2. 졸업 논문: - 특정 주제에 대한 심층 연구를 통해 졸업 논문 작성
졸업 후 진로 및 취업 방향
1. 정부 및 공공기관 : - 농림축산식품부, 농촌진흥청, 지방자치단체 등의 공공기관에서 농업 정책 기획 및 시행 - 한국농어촌공사,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(aT) 등에서 농업 관련 업무 수행
2. 농업 관련 기업 : - 농업 경영, 농산물 유통, 식품 가공 등의 분야에서 활동 - 대기업(예: CJ제일제당, 농심, 오뚜기 등)에서 농산물 구매 및 공급망 관리, 경영 컨설팅
3. 연구소 및 학계 : - 농업 경제 및 사회학 관련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활동 - 대학원 진학 후 학계에서 교수나 연구자로 활동
4. 국제기구 및 NGO : - FAO(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), WFP(세계식량계획) 등 국제기구에서 농업 개발 및 식량 안보 관련 업무 수행 - 농업 관련 NGO에서 농촌 개발, 식량 안보 프로젝트 기획 및 실행
5. 금융 및 컨설팅 : - 농업 관련 금융 기관(예: 농협은행)에서 농업 금융 서비스 제공 - 컨설팅 회사에서 농업 경영 컨설팅, 경제 분석 등
평균 연봉 및 취업률
1. 평균 연봉 : - 정부 및 공공기관 : 초봉은 약 3,000만 원에서 4,000만 원 사이. 경력이 쌓이면 5,000만 원에서 7,000만 원 이상 - 농업 관련 기업 : 초봉은 약 3,500만 원에서 5,000만 원 사이. 경력이 쌓이면 6,000만 원에서 8,000만 원 이상 - 연구소 및 학계 : 초봉은 약 3,000만 원에서 4,000만 원 사이. 경력이 쌓이면 5,000만 원에서 7,000만 원 이상 - 국제기구 및 NGO : 초봉은 약 3,500만 원에서 5,000만 원 사이. 경력이 쌓이면 6,000만 원 이상 - 금융 및 컨설팅 : 초봉은 약 4,000만 원에서 5,000만 원 사이. 경력이 쌓이면 7,000만 원에서 1억 원 이상
2. 취업률 : - 농경제사회학부 졸업생들의 취업률은 높은 편 - 농업의 중요성이 증가하고, 지속 가능한 농업 및 농촌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직업의 수요도 증가 - 정부 및 공공기관, 농업 관련 기업, 연구소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취업 기회가 많음
결론
농경제사회학부는 농업과 경제, 사회의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다루며, 농업의 문제를 경제적, 사회적 관점에서 해결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합니다
졸업 후에는 정부 및 공공기관, 농업 관련 기업, 연구소, 국제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으며, 평균 연봉과 취업률도 만족스러운 수준입니다. 농경제사회학부에 진학을 고민 중이라면, 적극적으로 도전해 볼 만한 분야입니다